1장
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    printf("Hello World!");
    return 0;
}

위와 같은 형식의 c언어는 한글자씩 바이트로 변환되는데 이를 아스키코드라고 한다.

  • 아스키 코드: 한 문자(1바이트)를 숫자로 대응한 것 (1바이트 -> 8비트)

c언어로 작성된 파일은 전처리 -> 컴파일 -> 어셈블러 -> 링커로 나뉜다. (컴파일의 일련과정)

  1. 전처리
    #include <stdio.h>
    

    위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소스코드에 직접 삽입한다.

  2. 컴파일 어셈블리 언어로 번역하여 기계가 직접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변경한다.

  3. 어셈블러 기계어로 번역한다.

  4. 링커 해당 파일을 실행 가능한 목적 파일로 만들어준다. -> 실행가능

댓글남기기